맨위로가기

로저 윌리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저 윌리엄스는 1603년 런던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갈등으로 인해 아메리카로 이주했다. 그는 프로비던스 식민지를 건설하고,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를 옹호하며, 미국 최초 침례교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종교적 자유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윌리엄스는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의 사상은 미국 헌법에 영향을 미쳤고, 대한민국 헌법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의 유산은 로저 윌리엄스 대학교, 로저 윌리엄스 국립 기념관 등 여러 기관과 장소에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례교도 - 윌리엄 톨버트
    윌리엄 톨버트는 라이베리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으나, 쿠데타로 살해당하면서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의 정치적 지배가 종식되었다.
  • 침례교도 - 에이드리언 볼트
    에이드리언 볼트는 1889년에 태어나 1983년에 사망한 20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지휘자 중 한 명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와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수학하고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데뷔하여 영국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1603년 출생 - 도쿠가와 요리후사
    도쿠가와 요리후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번째 아들이자 미토 번의 초대 번주로서, 미토 도쿠가와 가문을 창설하고 고산케의 기슈 도쿠가와 가문과 관계를 맺었으며, 쇼군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부장군이라 불렸으나 미토 번에 대한 실질적인 통치는 제한적이었다.
  • 1603년 출생 - 정명공주
    정명공주는 조선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로, 영창대군과 함께 사랑받았으나 광해군과의 대립으로 유폐되었고, 인조반정 이후 공주로 복권되어 홍주원과 혼인하여 7남 1녀를 낳았으며, 서예에 능하고 종친의 어른으로 존경받았으며, 조선 시대 공주 중 가장 장수한 인물이다.
  • 17세기 개신교 신학자 - 코튼 매더
    코튼 매더는 미국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저술가로, 뉴잉글랜드 청교도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미국 그리스도의 위대한 업적』을 저술하고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마녀 혐의자 처형을 옹호하기도 했다.
  • 17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존 번연
    존 번연은 영국의 대장장이 출신 작가로, 옥중에서 기독교인의 천국 여정을 그린 우화 소설 《천로역정》을 집필하여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을 남겼다.
로저 윌리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랭클린 시몬스의 로저 윌리엄스 동상
로저 윌리엄스 (1872)
직함
직업목사, 정치인, 작가
정치 경력
직책로드아일랜드 및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식민지의 9대 대통령
임기 시작1654년
임기 종료1657년
전임자니콜라스 이스턴
후임자베네딕트 아놀드
직책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총독
임기 시작1636년
임기 종료1644년
전임자직책 신설
후임자자신 (최고 책임자로서)
직책프로비던스와 워릭의 최고 책임자
임기 시작1644년
임기 종료1647년
전임자자신 (총독으로서)
후임자존 코게샬 (대통령으로서)
개인 정보
출생지런던, 영국
사망일1683년 1월 21일 ~ 3월 15일 사이 (79세)
사망지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배우자메리 버나드
자녀6명
교육
서명

2. 초기 생애와 교육

로저 윌리엄스는 1603년런던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6] 하지만 런던 대화재 당시 세인트 세풀처 교회가 소실되면서 출생 기록이 파기되어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 수 없다.[7] 윌리엄스 자신도 평생 자신의 나이에 대해 일관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했다고 전해진다.[8] 아버지는 스미스필드의 상인 재단사인 제임스 윌리엄스(1562–1620)였고, 어머니는 앨리스 펨버턴(1564–1635)이었다.

윌리엄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 다녔다.


어린 시절 영적인 개종을 경험했으나 아버지의 반대에 부딪혔다. 청소년기에는 저명한 법학자 에드워드 코크 경(1552–1634) 밑에서 일했으며, 그의 후원으로 차터하우스 스쿨에서 교육받았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 진학하여 1627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9] 그는 언어에 재능을 보여 일찍부터 라틴어, 히브리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에 능통했다. 훗날 시인 존 밀턴에게 네덜란드어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를 가르치고, 그 대가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복습 지도를 받기도 했다.[10][11]

학업을 마치고 잉글랜드 국교회에서 성직 서품을 받았으나, 케임브리지 시절 청교도가 되면서 성공회 내에서의 출세 기회를 사실상 포기하게 되었다. 졸업 후에는 윌리엄 매샴 준남작 경의 채플린으로 잠시 활동했다. 1629년 4월, 레이디 조안 배링턴의 조카인 제인 왈리에게 청혼했으나 거절당했다.[12] 같은 해 12월 15일, 그는 저명한 청교도 설교자 리처드 버나드 목사의 딸인 메리 버나드(1609–1676)와 에핑 숲 지구의 하이 레버 교회에서 결혼했다.[13] 부부 사이에는 여섯 자녀(메리, 프리본, 프로비던스, 머시, 다니엘, 조셉)가 있었으나 모두 아메리카 대륙에서 태어났다.

윌리엄스는 윌리엄 로드 대주교의 엄격한 고교회파적 정책 하에서는 잉글랜드에 더 이상 머물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잉글랜드 국교회를 부패한 것으로 여겼고, 1630년까지 분리주의 입장을 확립했다. 이는 그가 뉴잉글랜드에서 양심의 자유를 찾아 떠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12월 1일, 그는 아내와 함께 브리스톨에서 보스턴으로 가는 ''라이온''호에 탑승했다.[14]

3.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갈등 및 아메리카 이주

윌리엄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공부하고 잉글랜드 국교회 성직을 받았으나, 재학 중 청교도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국교회 내에서의 성공 기회를 포기하게 되었다.[9] 케임브리지 졸업 후 윌리엄 매샴 준남작 경의 채플린으로 일했으며, 1629년 12월 15일 에식스 하이레이버 교회에서 메리 버나드(1609–1676)와 결혼했다.[13]

윌리엄스는 잉글랜드 국교회를 부패하고 거짓된 것으로 여겼고, 1630년경에는 분리주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 당시 윌리엄 로드 대주교의 고교회주의적이고 엄격한 정책 하에서는 영국에 더 이상 머물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영국에서 보장받지 못하는 양심의 자유를 뉴잉글랜드에서 찾고자 했다. 결국 1630년 12월 1일, 윌리엄스는 아내 메리와 함께 브리스톨에서 ''라이온''호를 타고 보스턴으로 향했다.[14]

이듬해인 1631년 2월 5일, 배는 보스턴 외곽 나앤터스킷에 도착했다.[15] 보스턴 교회는 마침 영국으로 잠시 돌아간 존 윌슨 목사의 자리를 임시로 맡아달라고 제안했지만,[16] 윌리엄스는 그 교회가 잉글랜드 국교회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비분리파 교회'라는 이유로 거절했다. 그는 또한 시민 행정관이 십계명 중 첫 네 계명(예: 우상 숭배, 신성 모독 등 종교적 의무 관련 조항) 위반을 처벌할 권한이 없으며, 모든 개인은 종교 문제에 있어 자신의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원칙들은 이후 윌리엄스 사상의 핵심이 되었다.

4. 매사추세츠 추방과 프로비던스 건설

1631년 2월 5일, 리온호를 타고 보스턴에 도착한 로저 윌리엄스는[15] 보스턴 제일 교회로부터 임시 목사직을 제안받았다. 당시 목사였던 존 윌슨이 영국으로 잠시 돌아간 사이였다.[16] 그러나 윌리엄스는 보스턴 교회가 잉글랜드 국교회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안을 거절했다. 그는 또한 시민 행정관이 십계명 중 첫 부분에 해당하는 종교적 문제(우상 숭배, 안식일 훼손, 거짓 예배, 신성 모독 등)에 대해 처벌할 권한이 없으며, 개인은 자신의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가 권력과 교회의 분리, 즉 정교 분리와 양심의 자유를 강조한 것으로, 훗날 그의 사상의 핵심이 되었다. 윌리엄스가 사용한 "분리의 벽"(wall of separation)이라는 표현은 토머스 제퍼슨이 인용하여 미국 정교 분리 원칙의 상징적인 문구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70]

조나단 코윈 하우스(The Witch House)는 오랫동안 윌리엄스가 세일럼에서 거주했던 곳으로 여겨졌다.


윌리엄스는 분리주의자로서 잉글랜드 국교회를 부패한 것으로 보고 완전한 분리를 주장했다. 분리주의 성향이 있던 세일럼 교회가 그를 교사로 초빙했으나, 보스턴 지도자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631년 여름, 윌리엄스는 플리머스 식민지로 이주하여 환영받으며 목사를 도왔고, 총독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그의 가르침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윌리엄스는 플리머스 교회 역시 국교회와 충분히 분리되지 않았다고 비판했으며, 내러개닛족과의 교류를 통해 원주민으로부터 정당하게 토지를 구입하지 않은 식민지 헌장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1632년 12월, 그는 왕의 헌장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플리머스의 토지 소유권에 문제를 제기하는 글을 썼으며, 제임스 1세가 스스로를 최초의 기독교 군주라 칭하며 땅을 하사한 것을 "엄숙한 거짓말"이라고 비난했다.

1633년 가을, 윌리엄스는 세일럼으로 돌아와 사무엘 스켈턴 목사의 비공식 조력자가 되었다. 매사추세츠 만 당국은 그의 복귀를 못마땅하게 여겼고, 1633년 12월 그를 소환하여 왕과 헌장을 공격한 글에 대해 해명하게 했다. 문제는 일단 봉합되었으나, 1634년 스켈턴 목사 사망 후 윌리엄스가 임시 목사가 되자 갈등은 다시 불거졌다. 1635년 3월, 그는 "잘못되고 위험한 의견"을 퍼뜨린다는 이유로 다시 법정에 소환되었다. 특히 세일럼 마을이 마블헤드 넥의 토지 합병을 청원했을 때, 법원은 윌리엄스를 해임하지 않으면 청원을 고려하지 않겠다고 압박했다. 세일럼 교회는 처음에는 반발했으나, 다른 교회들의 외면과 법원의 압력 속에서 윌리엄스에 대한 지지는 약화되었고, 그는 결국 교회를 떠나 소수의 추종자들과 집에서 모임을 가졌다.

''로저 윌리엄스의 추방'' (1850년경) by 피터 F. 로더멜


결국 1635년 10월, 매사추세츠 일반 법원은 윌리엄스를 재판에 회부하여 반역과 이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리고 추방을 명령했다.[20] 법원은 그가 "다양하고, 새롭고, 위험한 의견"을 퍼뜨리고 있다고 선언했다. 병과 겨울 날씨를 고려하여 추방 집행은 잠시 유예되었으나, 윌리엄스가 자신의 견해를 계속 설파하자 당국은 1636년 1월 그를 체포하려 했다. 그러나 윌리엄스는 이미 사흘 전 폭풍우 속으로 사라진 뒤였다. 그는 깊은 눈 속을 걸어 세일럼에서 레이넘까지 약 약 88.51km를 이동했고, 그곳에서 왐파노아그족의 도움으로 겨울 캠프에 머물렀다. 추장 매서소이트는 3개월 동안 그에게 은신처를 제공했다.

1636년 봄, 윌리엄스는 나래갠셋족 추장 카노니커스에게 땅을 얻어 새로운 정착지를 세우고 '프로비던스'(Providence, 신의 섭리)라고 이름 지었다. 이는 신이 자신과 추종자들을 이곳으로 인도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는 이 정착지를 "양심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피난처로 삼고, 신교의 자유와 정교 분리 원칙에 기반한 공동체를 건설하고자 했다.

4. 1.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의 발전과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통합

1635년 6월, 윌리엄스는 현재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 해당하는 땅에 도착하여 나래갠셋족 추장 카노니커스에게 땅을 "구입"했다. 당시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는 토지 소유 및 매매 개념이 희박했기에 이것이 상호 동등한 이해 아래 이루어진 거래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윌리엄스는 12명의 "사랑하는 친구와 이웃"과 함께 정착지를 세웠다. 이 개척지는 평등의 원칙에 기반했으며, "우리 대부분이 동시에 동료로 해야 한다고 투표하는 자는" 공화국의 일원이 된다고 규정했다. 다수결 원칙은 "공공의 사항"에 한정되었고, 1640년에는 39명의 자유인이 "양심의 자유를 계속 유지한다"는 합의에 서명하며 신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원칙을 명확히 했다. 윌리엄스는 신의 섭리가 자신과 추종자들을 이곳으로 인도했다는 믿음으로 식민지에 '프로비던스'(Providence, 신의 섭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1637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청교도 신정주의에 반발한 앤 허친슨과 그녀의 추종자들이 윌리엄스에게 조언을 구했다. 윌리엄스는 그들에게 아퀴드넥 섬(훗날 로드아일랜드 섬)을 원주민에게 구입하여 정착하도록 권유했고, 이들은 포카셋(현재의 포츠머스)에 정착했다. 이 그룹에는 앤 허친슨의 남편 윌리엄, 윌리엄 코딩턴, 존 클라크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1638년경, 매사추세츠에서 박해받던 침례교 신자들이 프로비던스로 이주해 왔다. 이들 중 일부는 윌리엄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에제키엘 홀리먼 등은 윌리엄스에게 세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639년 3월경, 윌리엄스는 홀리먼에게 세례를 받았고, 즉시 홀리먼과 다른 11명에게 세례를 베풀어 미국 최초의 침례교회를 공동 설립했다. 이 교회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거의 동시에 존 클라크도 뉴포트에 침례교회를 설립했다. 어느 교회가 먼저 세워졌는지에 대한 논쟁은 기록 부족으로 결론나지 않았으나[72], 윌리엄스와 클라크는 미국 침례교 신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73]. 그러나 윌리엄스는 몇 달 후, 지상에 완전한 형태의 교회가 존재하지 않으며 새로운 사도가 파견될 때까지는 의식을 집행할 자격이 없다고 믿게 되어 교회를 떠나 "구하는 자"(Seeker)의 입장을 취했다[74]. 그는 특정 교단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기독교 진리를 전파하는 데 힘썼고, 침례교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643년, 윌리엄스는 식민지의 공식적인 특허장(charter)을 얻기 위해 시민들에 의해 잉글랜드로 파견되었다. 당시 잉글랜드는 잉글랜드 내전 중이었고 청교도 세력이 의회를 장악하고 있었다. 윌리엄스는 헨리 베인 경의 도움과 매사추세츠 대표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644년 7월,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에 대한 의회 특허장을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1643년 런던에서 출판된 그의 저서 ''아메리카 언어의 열쇠''가 간접적인 도움이 되었다.[24][25] 이 책은 뉴잉글랜드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와 문화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 중 하나로, 그들의 삶과 문화를 소개하며 식민주의자들의 우월주의적 태도를 비판했다. 이 책은 잉글랜드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26]

1644년 7월 의회로부터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에 대한 첫 번째 특허장을 가지고 잉글랜드에서 돌아온 로저 윌리엄스


특허장을 확보한 직후인 1644년, 윌리엄스는 그의 가장 유명한 저작인 ''양심의 문제에 대한 박해의 피투성이 교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종교적 관용과 양심의 자유를 강력하게 주장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고, 의회는 공공 사형 집행관에게 모든 사본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윌리엄스는 이미 특허장을 가지고 뉴잉글랜드로 돌아가는 중이었다.[26]

윌리엄 코딩턴 등의 반대로 인해 내러갠셋 만의 정착지들을 통합하는 데는 수년이 걸렸다. 마침내 1647년, 프로비던스, 포츠머스, 뉴포트, 워릭 정착지가 통합되어 로드아일랜드 및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식민지가 수립되었다. 새 식민지는 다시 한번 양심의 자유를 기본 원칙으로 선언하며, 침례교, 퀘이커, 유대교 신자 등 종교적 신념 때문에 박해받는 이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 1652년 5월 18일, 로드아일랜드는 북아메리카 식민지 중 최초로 노예 제도를 불법화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윌리엄 코딩턴은 통합 정부 내에서의 자신의 지위에 불만을 품고 윌리엄스와 대립했다. 그는 1651년 잉글랜드로 건너가 로드아일랜드 섬과 코나니컷 섬의 "종신 지사"로 임명되는 독자적인 특허를 받아 돌아왔다. 이는 프로비던스와 워릭을 제외한 결정이었으며, 코딩턴이 매사추세츠 및 코네티컷 식민지와의 연방을 추진할 가능성 때문에 로드아일랜드 전체의 양심의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이에 프로비던스와 워릭, 그리고 코딩턴 반대 세력은 윌리엄스와 존 클라크를 잉글랜드로 보내 코딩턴의 특허를 무효화하도록 했다. 윌리엄스는 여행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자신의 주요 수입원이었던 코쿰스커스(위크포드 근처)의 무역 기지를 매각해야 했다. 윌리엄스와 클라크는 올리버 크롬웰 정부로부터 코딩턴의 특허를 무효화하는 데 성공했다. 클라크는 식민지의 이익을 보호하고 새로운 특허를 확보하기 위해 이후 10년간 잉글랜드에 머물렀다. 윌리엄스는 1654년 미국으로 돌아와 즉시 식민지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마을 및 식민지 정부 직책을 역임하며 공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5.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관계

윌리엄스는 플리머스 식민지에 머무는 동안 내러갠셋족과 교류하면서, 원주민으로부터 정당하게 토지를 매입하는 절차 없이 발행된 식민지 헌장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제임스 1세가 해당 토지를 발견한 최초의 기독교 군주라고 주장한 것을 "엄숙한 거짓말"이라 비판했으며, 원주민으로부터 먼저 땅을 사지 않고 플리머스가 땅을 소유할 권리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을 썼다. 플리머스의 윌리엄 브래드퍼드 총독은 윌리엄스가 "인디언에 대해 너무 동정적"이라고 기록하기도 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플리머스와 매사추세츠 식민지 지도자들과의 갈등 요인이 되었으며, 그가 매사추세츠에서 추방된 여러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다.

1636년 매사추세츠에서 추방된 윌리엄스는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시콩크 강을 건너다 해안에서 내러갠셋족과 마주쳤다. 그들은 윌리엄스 일행에게 What cheer, Netop|왓 치어, 네톱eng(안녕, 친구)이라고 말을 건넨 것으로 유명하다. 이후 윌리엄스는 내러갠셋족의 추장인 카노니쿠스와 미안토노모로부터 정당하게 토지를 구입하여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을 설립했다.[21][22] 또한 1637년 앤 하치슨과 그 추종자들이 매사추세츠에서 추방되었을 때, 윌리엄스는 존 클라크 등이 아퀴드넥 섬을 내러갠셋족으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중개하여 포츠머스와 뉴포트 정착지 설립을 도왔다.

1637년 피쿼트 전쟁이 발발하자, 자신을 추방했던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는 윌리엄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윌리엄스는 이에 응하여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내러갠셋족피쿼트족과 동맹을 맺지 않도록 설득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내러갠셋족은 오히려 식민지 주민들과 동맹을 맺었고, 이는 1637년에서 1638년에 걸쳐 피쿼트족을 물리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쿼트 전쟁 중 포로 처리에 대한 윌리엄스의 입장은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참조)

윌리엄스는 특히 내러갠셋족과 깊은 우정과 신뢰를 쌓았다. 그는 약 40년 동안 끊임없는 중재와 협상을 통해 원주민과 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사이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원주민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실제로 두 차례나 원주민에게 스스로 인질로 잡히기도 했다. 이는 법정에 소환된 추장의 안전한 귀환을 보장하기 위한 행동으로, 1645년에는 페시쿠스 추장을 위해, 1671년에는 메타콤(필립 왕)을 위해 인질이 되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원주민들은 다른 어떤 식민지 주민보다 윌리엄스를 더 신뢰했으며, 그는 그 신뢰에 부응하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5. 1.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윌리엄스는 노예제에 대해 많은 글을 남기지는 않았으나, 일관되게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27] 하지만 당시 전쟁의 일반적인 관행이었던, 포로로 잡힌 적군을 일정 기간 노예로 삼는 것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반대하지 않았다.[27] 그는 노예 제도의 도덕성에 대해 고민했으며, 페쿼트 전쟁(1636–1638) 중 페쿼트족의 처우와 관련하여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총독 존 윈스럽에게 편지를 보내 우려를 표했다.[28][29] 이 편지들에서 그는 윈스럽에게 페쿼트족 여성과 아이들을 노예로 삼는 것을 막아달라고 요청했으며, 식민지 민병대가 전투 중 그들을 살려두도록 지시해 줄 것을 부탁했다.[30][31][32] 1637년 7월 31일 윈스럽에게 보낸 다른 편지에서는, 남은 페쿼트족 여성과 아이들을 포로로 잡아 고용하는 것이 적군 전투원을 약화시키는 "합법적인" 방법임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의 고용이 영구적이어서는 안 된다고 간청했다.[33][34][35]

이러한 망설임에도 불구하고, 윌리엄스는 페쿼트 전쟁 종결 협상을 위한 식민지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이 협상에서는 포로로 잡힌 페쿼트족의 운명이 뉴잉글랜드 식민지 주민들과 그들의 동맹인 나라간셋족, 모히건족, 니안틱족 사이에서 결정되었다.[36] 윌리엄스는 윈스럽에게 자신과 나라간셋족의 사켐(족장) 미안토노모가 포로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고했다. 처음에는 포로들을 승리한 네 집단 사이에 노예로 나누는 방안이 논의되었고 미안토노모는 이를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그러나 윌리엄스의 제안에 따라, "그들 대부분이 가족이었기 때문에" 비전투원들은 니안틱 영토의 섬으로 이주시키는 것으로 결정되었다.[37] 이후 미안토노모가 윈스럽에게 노예로 삼을 페쿼트 여성 한 명을 요청하자, 윌리엄스는 "그는 자신의 몫을 받았다"며 반대하고 대신 "영국인 남자 한두 명을 사도록" 제안했다.[38] 1637년 7월, 윈스럽은 이스라엘 스토턴이 코네티컷에서 포획한 페쿼트족 소년 한 명을 윌리엄스에게 고용인으로 보냈고, 윌리엄스는 그 아이의 이름을 '윌'로 지어주었다.[39][40]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동맹은 노예가 된 페쿼트족을 서인도 제도로 수출하는 것을 도왔지만, 다른 이들은 이러한 관행에 동의하지 않고 그들에게 토지와 식량을 제공하여 식민지 정착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믿었다.[36] 노예가 된 많은 페쿼트족은 자주 도망쳤고, 주변의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정착지에서 그들을 받아들였다.[38][36] 윌리엄스는 식민지 주민들이 페쿼트족 포로를 분배하고 판매하는 것을 도왔으며, 도망자를 추적하여 돌려보내 달라는 요청에 응하기도 했다.[41] 그는 미안토노모 등 원주민 지도자들과의 인맥을 활용하여 탈출자를 찾는 데 협조했다.[42] 윌리엄스는 자신이 체포한 원주민들이 겪은 학대와 강간 경험을 기록하기도 했는데, 역사가 마가렛 엘렌 뉴웰은 윌리엄스가 윈스럽에게 고용 기간 제한을 설득하는 편지를 쓴 것이 이러한 탈출자들과의 만남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41]

1641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는 노예 제도를 합법화하는 법을 통과시켰다.[43] 이에 대응하여 윌리엄스의 지도 아래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은 1652년, 개인을 노예로 삼을 수 있는 기간을 제한하고 아프리카로부터의 노예 수입을 금지하려는 법을 통과시켰다.[28] 이 법은 노예 신분을 고용 계약과 유사하게 규정하여, 노예 기간을 제한하고 자녀에게 상속되지 않도록 했다.[27] 그러나 본토와 섬 정착촌이 통합되면서 섬 주민들이 이 법의 수용을 거부하여 결국 사문화되었다.[44]

필립 왕 전쟁 동안 평화를 유지하려는 윌리엄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나라간셋족과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그의 집은 불타버렸다.[28] 전쟁 중에 윌리엄스는 로드아일랜드의 아메리카 원주민 포로를 노예로 처리하고 판매하는 위원회를 이끌었다.[45][46] 이 위원회는 프로비던스가 이전의 법규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를 소유하도록 허용할 것을 권고했으며, 포로들의 가격을 평가하고 주민들에게 판매를 중개했다. 윌리엄스의 아들은 추가 포로를 뉴포트로 수송하여 판매하기도 했다. 윌리엄스는 또한 전쟁의 주모자로 지목된 체포된 아메리카 원주민 남성에 대한 재판을 조직하고 처형을 집행했다.[47]

6. 정교분리 사상과 저술 활동

정교분리의 확고한 지지자였던 윌리엄스는 시민 정부가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간섭할 근거가 없다고 확신했다.[55] 그는 이미 1631년 보스턴 교회의 제안을 거절하며 시민 행정관이 십계명 중 신앙과 관련된 첫 부분(우상 숭배, 신성 모독 등)을 처벌해서는 안 되며, 개인은 종교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는 그의 핵심 사상이 되었다.

윌리엄스는 국가의 역할이 시민 질서 유지에 국한되어야 하며, 종교적 신념에는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그는 국가 권력이 십계명 중 인간 관계에 관한 계명(살인, 절도, 거짓말 등)에만 관련되어야 한다고 믿었다.[55] 그는 국가가 종교를 강요하는 것을 "강요된 예배"라고 비판하며, "강요된 예배는 하나님의 코에서 악취가 난다"고 강하게 표현했다.[58] 또한 그는 유명한 비유를 통해 "교회의 정원과 세상의 황무지 사이에 울타리 또는 분리의 벽"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비유는 훗날 토머스 제퍼슨이 1801년 ''댄버리 침례교도에게 보낸 편지''에서 인용하기도 했다.[56][57]

윌리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국가가 종교 문제에 관여하면서 기독교가 부패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관한 법을 "영혼의 강간"이라 묘사하고, 종교적 순응을 강요하려는 시도가 낳은 폭력성을 "피의 바다"라고 비판했다.[59] 그는 성경의 도덕 원칙이 시민 정부를 인도해야 하지만, 기독교가 없는 곳에서도 질서 있는 정부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어떤 정부도 특정 종교적 견해를 장려하거나 억압할 권한은 없다고 결론지었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그의 사상이 혼란과 무정부 상태를 초래할 것이라 비판하며 국교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1643년, 윌리엄스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아메리카 언어 해설(A Key into the Language of America)''를 출판했다.


윌리엄스는 활발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펼쳤다. 그의 첫 저서는 잉글랜드 방문 중 집필한 ''아메리카 언어의 열쇠''(A Key into the Language of America, 런던, 1643)이다.[24][25] 이 책은 뉴잉글랜드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는 안내서로, 단순한 어구집을 넘어 그들의 삶과 문화에 대한 관찰을 담고 있다. 특히 그는 이 책에서 식민주의자들의 원주민에 대한 우월주의적 태도를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자부심 강한 영국인이여, 네 혈통을 자랑하지 마라; 네 형제인 인디언도 태생적으로 훌륭하다. 한 혈통으로 하나님은 그와 너, 그리고 모든 사람을 만드셨으니, 현명하고, 공정하며, 강하고, 개성적이다." 이 책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로 영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26] 윌리엄스가 로드아일랜드 특허장을 얻는 데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1644년에는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 특허장을 확보한 직후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양심의 문제로 인한 박해의 피 묻은 원리''(The Bloudy Tenent of Persecution for Cause of Conscience)를 출판했다. 이 책은 양심의 자유를 강력하게 옹호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고, 출판 이후 몇 년간 60여 편의 반박 소책자가 나올 정도로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 잉글랜드 의회는 1644년 8월, 이 책의 모든 사본을 공개적으로 불태우라고 명령하기까지 했다.[26]

윌리엄스는 존 코튼과의 논쟁 과정에서도 여러 저술을 남겼다. ''최근에 인쇄된 미스터 코튼의 편지, 검토 및 답변''(Mr. Cotton's Letter Lately Printed, Examined and Answered, 런던, 1644)과 ''피 묻은 원리는 더욱 피 묻힌다''(The Bloudy Tenent yet More Bloudy..., 런던, 1652) 등이 그것이다. 후자는 '피 묻은 원리'의 주장을 다시 강조하면서 코튼의 반박에 답하는 형식으로 쓰였다.[61][77]

그 외 윌리엄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고용된 사역은 그리스도의 것이 아니다 (The Hireling Ministry None of Christ's)1652년 (런던)
영적 생명과 건강의 실험, 그리고 그것들의 보존 (Experiments of Spiritual Life and Health, And their Preservatives)1652년 (런던)1863년 프로비던스 재인쇄
조지 폭스, 그의 굴에서 파다 (George Fox Digged out of his Burrowes)1676년 (보스턴)퀘이커내면의 빛 교리를 이단으로 비판



윌리엄스의 서신들은 후에 여러 차례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또한 브라운 대학교 존 카터 브라운 도서관에 소장된 암호로 쓰인 책("로저 윌리엄스 미스터리 북")이 2012년 해독되어, 유아 세례 문제 등에 대한 그의 추가적인 견해가 밝혀지기도 했다.[62][63][64]

7. 킹 필립 전쟁과 말년

킹 필립 전쟁 (1675–1676)은 식민지 주민들과, 윌리엄스가 이전까지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내러개닛 족 일부를 포함한 왐파노아그 족 사이에 큰 갈등을 일으켰다. 윌리엄스는 70대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프로비던스 민병대의 대장으로 선출되어 방어에 나섰다. 1676년 3월 29일, 캐넌체트가 이끄는 내러개닛 족은 프로비던스를 공격하여 도시를 불태웠고, 이 과정에서 윌리엄스의 집을 포함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다.[50]

윌리엄스는 1683년 1월 16일에서 3월 16일 사이에 사망했으며,[51] 자신의 소유지에 묻혔다.[52] 그러나 50년이 지난 후 그의 집은 지하실까지 무너져 내렸고, 그의 무덤 위치 또한 잊혀졌다.[52]

1860년, 프로비던스 주민들은 윌리엄스를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그의 유해가 묻혔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파헤쳤으나, 못 몇 개와 치아, 뼈 조각들만 발견되었다. 대신 그 자리에서는 기이하게도 사람의 형상을 닮은 사과나무 뿌리가 나왔는데, 이 뿌리는 마치 척추를 따라 내려가다 엉덩이 부분에서 갈라지고, 무릎 부분에서 구부러진 뒤 발 부분에서 다시 위로 꺾인 듯한 모양이었다.[53]

로드아일랜드 역사 협회는 1860년부터 로드아일랜드의 창립자를 상징하는 이 나무 뿌리를 보존해왔다. 2007년부터는 존 브라운 하우스에 전시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54] 뿌리와 함께 발견되었던 소량의 유해는 1939년 프로스펙트 테라스 공원에 세워진 커다란 석조 기념비 아래에 다시 안장되었다.

8. 유산과 영향

로저 윌리엄스는 종교의 자유정교분리 원칙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사상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 독립 선언 당시 종교적 자유의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여겨졌다. 그는 생애 동안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를 옹호하고, 영국 왕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땅값을 지불하지 않고 땅을 빼앗는 것을 비판하는 등 당시로서는 급진적인 주장을 펼쳐 많은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섰다. 또한 청교도들이 성공회의 억압적인 모습을 답습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로저 윌리엄스 국립 기념관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윌리엄스의 업적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기관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다음은 로저 윌리엄스를 기리는 주요 장소 및 기관이다.

구분명칭위치/설명
기념 화폐로드아일랜드 삼백주년 기념 하프 달러1936년 발행
국립 기념관로저 윌리엄스 국립 기념관프로비던스 시내 (1965년 설립)
공원로저 윌리엄스 공원프로비던스
동물원로저 윌리엄스 공원 동물원프로비던스 로저 윌리엄스 공원 내
대학교로저 윌리엄스 대학교브리스톨
식당로저 윌리엄스 식당로드아일랜드 대학교
식당로저 윌리엄스 인미국 침례교 그린 레이크 컨퍼런스 센터 (그린 레이크, 위스콘신, 1943년 설립)
병원로저 윌리엄스 메디컬 센터프로비던스
조각상로드아일랜드 대표 조각상미국 국회의사당 국립 조각상 홀 컬렉션 (1872년 추가)
기념비국제 종교 개혁 기념비의 일부제네바, 스위스 (다른 저명한 개혁가들과 함께 묘사됨)
학교로저 윌리엄스 중학교프로비던스
대학 작명브라운 대학교의 펨브로크 칼리지윌리엄스의 모교 이름을 따서 명명



윌리엄스는 활발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펼쳤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다룬 『A Key into the Language of America|미국의 언어에 대한 열쇠eng』(1643)와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절대적인 양심의 자유를 역설한 『The Bloudy Tenent of Persecution, for Cause of Conscience|양심에 대한 박해 피로 물든 교리eng』(1644) 등이 있다.[76][77] 그의 다른 저서로는 『Mr. Cotton's Letter lately Printed, Examined and Answered|코튼 씨의 편지, 이후의 인쇄, 검토와 답변eng』(1644), 『Queries of Highest Consideration, Proposed to Mr. Tho. Goodwin, Mr. Phillip Nye, Mr. Wil. Bridges, Mr. Jer. Burroughes, Mr. Sidr. Simpson, all Independents, etc.|고도로 고려된 질문들eng』(1644), 『The Bloudy Tenent, yet More Bloudy: by Mr. Cotton's endevour to wash it white in the Blood of the Lambe|피로 물든 교리, 더욱 피로 물들다eng』(1652)[76], 『The Hireling Ministry None of Christs|돈을 밝히는 목사, 비기독교인eng』(1652), 『Experiments of Spiritual Life and Health, and their Preservatives|정신적인 생활과 건강의 실험, 그리고 그것의 보존eng』(1652), 『George Fox Digged out of his Burrowes|조지 폭스가 그 굴을 팠다eng』(1676) 등이 있다.

윌리엄스는 1684년 초에 사망하여 자신의 부지에 묻혔다. 그의 유해는 이후 여러 차례 이장되었는데, 19세기 중반 유해를 발굴했을 때 사과나무 뿌리가 그의 유골 형태를 따라 자란 것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윌리엄스의 뿌리"는 현재 로드아일랜드 역사학회에서 보관하고 있다.[75] 현재 그의 유해는 청동 상자에 담겨 프로비던스 프로스펙트 테라스 공원의 기념비 기초에 안치되어 있다.

그의 유명한 후손으로는 19세기 발명가 게일 보든,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시인인 줄리아 워드 하우, 조각가 찰스 유진 테프트, 가수 미셸 필립스, 제41대 미국 부통령 넬슨 록펠러 등이 있다.

8. 1. 대한민국에 대한 시사점

로저 윌리엄스는 정교분리 원칙의 확고한 선구자였다. 그는 시민 정부가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간섭할 어떠한 권한도 없으며, 오직 사회 질서 유지라는 세속적인 문제에만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국가가 십계명 중 신앙과 관련된 부분을 강제하려는 시도에 반대하며, 정부의 역할은 살인, 절도, 간음 등 인간 사회의 관계를 규율하는 데 국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5] 그는 "교회의 정원과 세상의 황무지 사이에 울타리 또는 분리의 벽"을 세워야 한다고 표현했는데, 이는 종교 영역과 정치 영역의 명확한 구분을 강조한 것으로, 훗날 토머스 제퍼슨이 댄버리 침례교도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비유를 사용했다.[56][57]

윌리엄스는 국가에 의한 종교적 강요를 "강요된 예배"라 비판하며 신 앞에서 이는 용납될 수 없는 것이라고 단언했다.[58]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국가와 종교가 결탁하면서 기독교가 본질을 잃고 부패했다고 보았으며, 개인의 양심을 억압하는 종교법을 "영혼의 강간"이라 규정하고, 종교적 획일성을 강요하려는 시도가 결국 폭력과 갈등("피의 바다")을 낳는다고 경고했다.[59] 윌리엄스는 비록 성경의 도덕률이 통치에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인정했지만, 종교가 없는 사회에서도 질서 있는 정부 운영이 가능함을 지적하며, 어떤 정부도 특정 종교를 옹호하거나 탄압할 권리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당시 대부분의 동시대인들은 그의 사상을 혼란과 무질서를 조장하는 것으로 비판하며 각 국가가 국교를 정하고 이에 따르지 않는 이들을 강제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윌리엄스의 이러한 사상은 오늘날 다양한 신념과 가치가 공존하는 민주 사회, 특히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를 헌법적 가치로 삼는 대한민국과 같은 국가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이는 서로 다른 종교와 신념을 가진 시민들이 평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칙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백과사전 Roger Williams (American religious leader) http://www.britannic[...] 2017-02-05
[2] 웹사이트 Roger Williams http://www.history.c[...] A&E Television Networks 2009-01-01
[3]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abc-usa.o[...] 2017-03-22
[4] 웹사이트 First Baptist Meetinghouse, 75 North Main Street, Providence, Providence County, RI https://loc.gov/pict[...] 2017-01-12
[5]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Indian Issues Today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4-02
[6] 서적 Roger Willia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5-15
[7] 서적 Master Roger Williams: A Biography Macmillan 1957-01-01
[8] 서적 American National Biograp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학술자료
[10] 간행물 The Teaching of Hebrew in Colonial America 1955-04-01
[11] 웹사이트 An Open Society: A Biography of Roger Williams https://www.libertar[...]
[12] 서적 Roger Williams and the Creation of the American Soul: Church, State, and the Birth of Liberty Viking 2012-01-01
[13] 웹사이트 Wife of Roger Williams: Founder of Providence Plantation http://www.womenhist[...] 2007-10-05
[1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Jacob Belfry" Page 40, 1888 http://www.mocavo.co[...]
[15] 서적 Roger Williams https://books.google[...] Infobase Learning 2013-01-01
[16] 뉴스 God, Government and Roger Williams' Big Idea https://www.smithson[...] 2012-01-01
[17] 서적 Salem's Witch House: A Touchstone to Antiquity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09-09-16
[18] 서적 Roger Williams; the Pioneer of Religious Liberty https://books.google[...] Century Company 1894-01-01
[19] 서적 Liberty of Conscience: Roger Williams in America Judson Press 1999-01-01
[20]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Roger Williams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88-01-01
[21] 서적 The civic and architectural development of Providence, 1636-1950 https://archive.org/[...] Providence, R.I. : Book Shop 1957-01-01
[22] 서적 An Album of Rhode Island History
[23] 서적 Historical Catalogue of the Members of the First Baptist Church in Providence, Rhode Island https://books.google[...] Townsend, F.H., Printer 1908-01-01
[24] 서적 Liberty of Conscience Judson Press 1999-01-01
[25] 서적 Roger Williams: New England Firebrand Macmillan 1932-01-01
[26] 서적 God, War, and Providence: The Epic Struggle of Roger Williams and the Narragansett Indians against the Puritans of New England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9-06-18
[27] 학술지 Rhode Island and the Slave Trade http://www.rihs.org/[...] 2002-01-01
[28] 웹사이트 Slavery - Roger Williams Initiative http://www.findingro[...]
[29]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1-01
[30] 웹사이트 Letter to Sir Henry Vane and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May 15, 1637 http://www.masshist.[...] 1637-05-15
[31]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June 21, 2021 http://www.masshist.[...] 1637-06-21
[32]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July 15, 1637 http://www.masshist.[...] 1637-07-15
[33]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July 31, 1637 http://www.masshist.[...] 1637-07-31
[34]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February 28, 1638 http://www.masshist.[...] 1638-02-28
[35]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1-01
[36] 서적 Indian Slavery in Colonial America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09-01-01
[37]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July 10, 1637 (2) http://www.masshist.[...] 2021-08-03
[38] 웹사이트 Letter to John Winthrop From Roger Williams- August 12, 1637 http://www.masshist.[...] 2021-08-03
[39]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0]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1]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2]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3] 웹사이트 From Indentured Servitude to Racial Slavery https://www.pbs.org/[...] PBS 2011-09-13
[44] 서적 Rhode Island: A History W. W. Norton 1978
[45]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6] 서적 Dark Work: The Business of Slavery in Rhode Island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8
[47] 서적 Brethren by Nature: New Eng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Origins of American Slavery https://muse.jhu.edu[...]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48] 웹사이트 Newport Notables https://web.archive.[...] Redwood Library. 2007-09-27
[49]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Englewood Cliffs, N.J. 1960
[50] 서적 King Philip's War: Colonial Expansion, Native Resistance, and the End of Indian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0-09-01
[51] 웹사이트 Roger Williams Biography https://www.rogerwil[...] 2023-07-12
[52]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 February 5 https://www.loc.gov/[...] 2023-07-12
[53] 뉴스 The Tree Root That Ate Roger William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5-10-19
[54] 간행물 Body, Body, Who's Got the Body? Where in the World IS Roger Williams Rhode Island Historical Society 2008
[55] 서적 Separating Church and State: Roger Williams and Religious Liber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6] 웹사이트 God, Government and Roger Williams' Big Idea https://www.smithson[...] 2017-12-15
[57] 웹사이트 Everson and the Wall of Separation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7-12-13
[58] 웹사이트 Roger Williams Champion of Religious Liberty http://www.providenc[...] Providence, RI City Archives. 2014-05-28
[59] 서적 Liberty: God's Gift to Humanit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6-10-13
[60] 서적 Roger Williams, New England Firebrand https://books.google[...] Macmillan Co., Rhode Island 1932
[61] 간행물 Publications of the Narragansett Club
[62] 웹사이트 Cracking the Code: Infant Baptism and Roger Williams http://blogs.brown.e[...] Brown University 2012-09-16
[63] 웹사이트 Personal Tech for the 17th Century https://www.theatlan[...] 2012-09-16
[64] 뉴스 Reading Outside the Lines https://www.brown.ed[...] 2012-03
[65] 웹사이트 Cracking the Code: Infant Baptism and Roger Williams http://blogs.brown.e[...] Brown University 2012-09-16
[66] 웹사이트 Roger Williams's Landing Place Monument https://www.quahog.o[...] 2021-12-23
[67] 웹사이트 Slate Rock, The Landing Place of Roger Williams https://www.rihs.org[...] 2020-08-03
[68] 웹사이트 Slate Rock Park http://sowamsheritag[...] 2019-01-14
[69] 간행물 The Teaching of Hebrew in Colonial America 1955-04
[70] 서적 Divided by God Farrar, Straus and Giroux 2005
[71] 웹사이트 http://lighthouse.cc[...]
[72] 서적 Baptists in North America: an historical perspective Blackwell Publishing
[7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redwoodli[...] 2007-03-18
[74] 서적 Picturesque America
[75]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76] 문서 訳注:ブラウド(Bloud)、ブラウディ(Bloudy)、テネント(Tenent)および(Tryal)の意味不明。おそらく、Bloudはblood、TryalはTrial。
[77] 문서 「ウィルアムズ氏の検分に対する回答」(「ナラガンセット・クラブの出版物」第2巻)
[78] 서적 5시간만에 읽는 교회사 작은행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